서울시에서 손주를 돌보는 조부모를 위한 서울형 아이돌봄비 지원사업을 시행한 지 3개월 만에 약 4천 명이 혜택을 받고 있습니다. 이번 포스팅에서는 서울형 아이돌봄비 사업의 신청 자격, 혜택, 신청 방법 등을 자세히 알아볼게요!
서울형 아이돌봄비란?
서울형 아이돌봄비는 손주를 돌보는 조부모에게 월 30만 원의 돌봄비를 지원하는 서울시의 대표적인 육아 지원 사업입니다.
단순히 조부모만이 아니라 4촌 이내의 친인척이나 민간 아이돌봄 도우미도 지원 대상에 포함되어 있으며, 맞벌이 부모 또는 양육 공백이 있는 가정을 위해 만들어진 정책입니다.
해당 사업은 2023년 9월에 처음 시행되었으며, 시행 3개월 만에 4,351명이 신청하였고, 이 중 3,872명이 지원 기준에 부합하여 돌봄비를 받고 있습니다.
서울형 아이돌봄비 지원 대상 및 혜택
지원 대상:
- 4촌 이내의 친인척(조부모, 고모, 삼촌, 사촌 형제 등) 또는 서울시와 협약된 민간 아이돌봄 서비스기관을 이용하는 가정.
- 중위소득 150% 이하의 맞벌이 가정 또는 양육 공백이 있는 가정.
- 24개월 이상 36개월 이하의 아동을 키우는 가정.
지원 혜택:
- 아동 1인당 월 30만 원의 돌봄비 지원.
- 지원 기간: 최대 13개월까지 지원 가능.
💡 지원대상 아동이 23개월이 되는 달에 서울형 아이돌봄비 지원을 신청할 수 있으며, 매월 1~15일에 서울시 <몽땅정보 만능키> 누리집에서 신청할 수 있습니다.
몽땅정보 만능키
대상 양육가정 맞벌이 (예비)임산부 산모 다자녀 다문화 예비부부 청소년부모 한부모 미혼모부 장애아 아이연령 임신·출산 0~2세 3~5세 6~9세 10세 이상
umppa.seoul.go.kr
서울형 아이돌봄비 지원 유형
서울형 아이돌봄비는 크게 두 가지 유형으로 나눌 수 있습니다.
친인척 육아조력자 지원
4촌 이내 친인척이 아동을 돌보는 경우에 한해 지원 가능.
이 중 할머니, 할아버지가 96.5%로 가장 많이 지원받고 있으며, 나머지는 고모, 삼촌, 사촌형제 등입니다.
민간 아이돌봄 도우미 지원
양가 부모님이 지방에 살거나 도움을 줄 수 없는 가정의 경우, 민간 육아도우미를 이용할 때도 지원받을 수 있습니다.
서울시와 협약된 민간 돌봄 서비스기관 3곳을 통해 돌봄 서비스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서울시와 협약된 민간 아이돌봄 서비스기관
- 맘시터pro: 홈페이지 ☎2135-1384
- 돌봄플러스: 홈페이지 ☎2135-2296
- 우리동네 돌봄 히어로: 홈페이지 ☎6232-0323
서울형 아이돌봄비 신청 방법
서울형 아이돌봄비는 매월 1일부터 15일까지 신청할 수 있으며, 온라인 신청은 아래와 같은 절차로 진행됩니다.
서울시 <몽땅정보 만능키> 누리집 접속
신청서 작성 및 제출
신청서와 필요한 서류를 준비하여 온라인으로 제출합니다.
서류 심사 및 선정
서울시에서 심사 후, 선정 여부를 문자 메시지로 통보해 줍니다.
서울형 아이돌봄비 효과 및 만족도
서울형 아이돌봄비를 이용 중인 가정의 98%가 "서비스를 추천한다"고 답할 정도로 만족도가 매우 높습니다.
부모들은 손주 돌봄을 도와주는 조부모나 친인척에게 돌봄비를 지원함으로써, 양육 부담을 줄일 수 있다는 점에서 높은 만족도를 보였습니다.
특히, 손주와 유대·애착 관계가 좋아졌다(10.3%)는 점, 필수 교육을 통해 전문적인 돌봄이 가능해졌다(2.5%)는 점도 높은 호응을 얻었습니다.
서울형 아이돌봄비는 서울시의 선도적인 육아 지원 정책으로, 손주를 돌보는 조부모뿐만 아니라 친인척, 민간 도우미까지 지원 대상을 확대하여 양육 가정의 부담을 덜어주는 사업입니다.
시행 초기임에도 불구하고 많은 가정에서 높은 호응을 보이고 있으며, 향후 타 시·도의 벤치마킹 대상이 될 만큼 주목받고 있습니다.
서울시는 앞으로도 모니터링을 통해 사업의 성과를 분석하고 이용자들의 의견을 수렴하여 정책의 효과성을 높일 계획입니다. 더 나아가 전국으로 확대되어 많은 가정이 혜택을 받을 수 있도록 지속적으로 개선해 나갈 예정입니다.
서울형 아이돌봄비는 맞벌이 부모가 늘고 조부모의 손주 돌봄이 증가하는 육아 환경에 꼭 필요한 정책으로, 더 많은 부모와 조부모에게 도움이 될 것입니다.
앞으로도 지속적인 지원과 발전을 통해, 모든 아이들이 행복하게 성장할 수 있는 서울을 만들기 위해 노력할 것입니다!